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에 힘을 북돋아줄 수 있는 지원 정책인데요. 얼마전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습니다. 해당되시는 많은 분들이 혜택을 받아가셨으면 좋겠네요.

청년도약계좌란?
만 나이 19~34세 청년들이 자산형성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. 매달 일정금액(최대 70만원)을 5년(60개월)간 납부 하면 만기시에 정부 지원금과 은행이자를 더한 금액을 수령받을 수 있어요.
최대 6%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비과세 혜택도 얻을 수 있습니다.
해당되는 분들은 기회 놓치지 말고 신청해보셔야겠습니다.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청년도약계좌 나이 기준
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려면 조건이 있는데요. 나이가 만 19~34세 이어야 합니다. 병역의무를 마쳤을 시 그 만큼 연령 기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. 최대 6년까지 가능합니다.
청년도약계좌 소득 기준
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기위한 소득 조건도 있습니다.
개인소득 연 6,000만원 이하(22년 1~12월의 총급여)이고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% 이하이면 됩니다.
총 급여가 6,000만원 초과 7,500만원 이하인 경우엔 정부 지원금은 못 받지만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있으니 포기하지 마세요.
| 2023년 기준 중위소득 | 중위소득 180% | |
| 1인가구 | 2,077,892원 | 3,740,205원 |
| 2인가구 | 3,456,155원 | 6,221,079원 |
| 3인가구 | 4,434,816원 | 7,982,668원 |
| 4인가구 | 5,400,964원 | 9,721,735원 |
| 5인가구 | 6,330,688원 | 11,395,238원 |
가구는 신청자의 주민등록등본상에 같이 기재된 부모님, 배우자, 형제자매, 자녀를 통틀어 말하는 것입니다.
더 자세한 중위소득은 아래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
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
신청기간
청년도약계좌는 2023년 6월 15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신청을 받습니다.
다만, 저 기간동안 모두 신청을 받는게 아니라 매월 2주간 신청을 받고 있어요. 8월은 1~11일까지 신청을 받는다고 하네요.
신청하실 분은 미리미리 신청하시는 게 좋겠죠?
신청방법
청년도약계좌를 취급하는 각각의 은행에서 신청하면 되는데요. 은행에서 모바일 앱으로 비대면 신청도 할 수 있습니다. 취급은행은 아래와 같습니다.
농협, 신한, 국민, 우리, 하나, 기업, 대구, 부산, 광주, 전북, 경남은행
은행 홈페이지를 통해서 자세하게 확인하고 신청도 해보세요. 해당 은행을 클릭하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| 농협 | 신한 | 국민 | 우리 |
| 하나 | 기업 | 대구 | 부산 |
| 광주 | 전북 | 경남 |
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비교
금리는 취급은행마다 자율적으로 결정되어 조금씩 다른데요. 은행별로 금리를 비교하여 한꺼번에 볼 수 있습니다. 금리는 3년간은 고정금리고, 그 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된다고 하네요.

더 자세한 사항은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.
소득에 따른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
개인소득에 따라 기여금이 달라집니다. 또한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기여금이 지원됩니다. 기여금이란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금액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
| 개인소득 | 납입금 최대 한도 | 월 기여금 지급 한도 | 기여금 매칭비율 | 월 최대 지급기여금 |
| 2,400만원 이하 | 최대 70만원 | 40만원 | 6.0% | 24,000만원 |
| 3,600만원 이하 | 50만원 | 4.6% | 23,000만원 | |
| 4,800만원 이하 | 60만원 | 3.7% | 22,000만원 | |
| 6,000만원 이하 | 70만원 | 3.0% | 21,000만원 | |
| 7,500만원 이하 | (이자소득은 비과세혜택만) |
청년도약계좌 가입시 유의사항
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하고자 할 때 유의사항도 살펴봐야겠죠. 청년도약계좌는 취급은행을 통틀어 한 명당 1개의 계좌만 개설 가능합니다.
그리고 또한 지금 청년희망적금을 하고계시는 분들은 가입이 불가능하니 이 점 유의해주세요.
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세요.